저는 라인플러스에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 4년차 개발자입니다. 정해진 범위의 업무만 하다보니 다른 갈증을 느껴 사이드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3D 웹 게임이고 웹으로 개발하고 시기적절하게 데스크탑, 모바일(안드, iOS) 앱으로 전부 빌드하여 출시할 계획입니다.
개발자 팀원이 전부 웹 개발잔데 게임 개발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툰 부분이 있을 수 있겠지만 빠르게 개발하고 검증해보며 재밌게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각자의 분야(기획, 디자인, 개발)를 넘어 ‘제품’을 만드는 영역에서의 성장을 지향하며 그런 분들과 함께 팀을 꾸리고 있습니다. 긴 호흡으로 기획한 것들을 함께 실현해 갈 분들은 연락 주세요!
기본적으로는 온라인으로 소통합니다. 주 1회 개발 회의와 디자인 회의를 따로 디코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어느정도 주기적으로 오프라인으로 만나서 작업하기도 하면서 으쌰으쌰 해보려 합니다.
궁금하신 사항이나 자세한 내용은 오픈톡으로 얘기 나눠요 :)
https://open.kakao.com/o/sg9SY2Sf
<aside> ☝ 긴 호흡으로 기획한 것을 실현하고 운영해보며, 각자의 분야(기획, 디자인, 개발)를 넘어 ‘제품’을 만드는 영역에서의 성장을 지향합니다.
</aside>
<aside> ☝️ 팀에 motivation이 유지되는 한 장기적으로는 또 다른 게임이나, 게임 외 다른 서비스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우리가 개발한 서비스들 간의 세계관을 하나씩 이어가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 이후에 음악 커뮤니티를 개발한다고 하면, 그 음악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게임에서 사용하던 내 캐릭터나 PFP(Profile Picture) 형태의 NFT를 화면에 그대로 구현해주어 그 캐릭터가 디제잉을 한다던지, 반대로 음악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던 PFP NFT를 게임에 가져와서 게임 캐릭터로 사용한다던지, 단순히 프로필로의 연동이 아닌 여러 서비스 간의 세계관을 잇고 조금씩 넓혀가는 하이퍼 서비스 같은 것을 만들고 싶습니다.
블록체인 마켓에서 NFT 홀더들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NFT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많지 않습니다. 최종적으로는 그런 역할을 해서 유저들에게 또 다른 재미를 제공하면서 우리의 서비스들 간 서로의 사용을 유도하는 선순환을 시킬 수 있는 형태를 목표합니다.
</aside>
Steam에 출시하고 일정이 맞는다면 인디 게임 공모전에 나가서 수상하는게 초기 목표입니다.
여기까지 올해 3분기를 목표로 합니다.
기획 및 PM 업무는 초기 목표 때까지는 제가 병행하며, 이후 니즈에 따라 모집할 계획입니다.
- 웹으로 개발하고 데스크탑 앱(window, macOS)으로 빌드하여 Steam에 출시합니다.
- 가능하면 반응형으로 모바일도 함께 대응하며 개발합니다.
- 배경 및 캐릭터는 그대로 사용하며, 카메라 시점과 UI/UX만 변경하는 식으로 생각중입니다.
-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 스토어에도 배포합니다.
- v0.0.1에 필수로 생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v0.0.1에서는 유저 간 밸런스가 깨지는 일 없도록 능력치나 아이템같은 요소 없이
유저들끼리 매칭되어 플레인하게 플레이할 수 있는 형태만 갖추도록 개발합니다.
BM을 추가하고 블록체인도 연동하여 수익화를 할 계획입니다. 현재 큰 틀은 잡아놓고 디테일한 부분들을 정하고 있습니다.
수익은 팀원들과의 합의를 통해 최대한 공평하게 분배할 계획입니다.
어느정도 유저나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면, 점차 퍼블리싱 플랫폼(Steam)과의 의존성을 줄여나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 웹과 모바일웹(반응형)으로도 출시하고자 합니다.
- 이미 웹으로 개발되어 있었기 때문에 추가 리소스는 적을 것 같습니다.
- 퍼블리싱 플랫폼과의 의존성을 줄여나가기 위해
자체적인 커뮤니티, 랜딩 페이지, 이벤트 페이지 등을 개발합니다.
- 캐릭터의 능력치, 아이템 등의 기능을 추가합니다.
- 이 때부터 캐릭터의 능력치를 구분하고, 아이템이나 스킬도 추가합니다.
- 과금이나 블록체인을 연동하는 방향으로 생각중입니다.
- 이때부터는 게임 설계적으로 밸런스 디자인도 필요할거고 현재 기획중에 있습니다.
- 블록체인을 연동한다면 마켓 플레이스 웹을 만들거나 외부 마켓을 이용해야 합니다.
- 채팅이나 친구 같은 기능도 추가합니다.
단, 현재 국내에는 [게임산업법 규제](<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357>)로 인해 블록체인이 연동되어 유저가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게임을 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블록체인만 연동하는건 ok. 단, 그 토큰이 어떤 마켓에서 거래되면 x.
2006년 바다이야기 사태 때 제정된 법으로 당시에 사행성 게임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없이 만들어져서,
현재는 P2E 게임에 대해서는 규제 완화 해달라는 움직임도 있기는 하지만 언제가 될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하여 블록체인 부분은 해외 ip에서만 가능하도록 개발할 것 같습니다.